* 특수교육의 의의*
특수교육이란 “특수한 학생의 독특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장비 및 설비가 요구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시각장애 학생들은 큰 글씨로 수업할수 있고 청각장애의 경우보청기나 수화에 의한 수업이 필요하고, 지체자애 학생들은 특수한 장비가 필요한 학급이나 고도의 구조화된 교실이 필요하다. 특수관련서비스는 특수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수아들의 능력을 발견하고 그것을 자산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 현대특수교육의 동향
1) 정상화운동: “장애인들도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장애정도가 아무리 심할지라도 그사회에 통합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장애이들이 가정과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그 구성원들과 효율적은 서비스를 합께 이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2) 탈 수용화: 정상화 이론을 주거문제에 적용한 개념으로, 넓은 사회적 맥락속에 거주하는 것을 말한다. 정상화 정책은 장애아동에게 정상적인 일상생활, 정상적인 환경속에서 생활하고, 일하고, 놀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주류화: 정상화 원리가 교육에 적용회어 구체적으로 나타난 것이 ‘주류화’로서 교육받던 장애 아동들을 ‘최소 제한적환경’ 에서 교육받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에 관하여도, 정상적인 교육환경에 가까운 환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4) 평생교육체제의 도입: 최근에 뚜렷하게 나타난 경향가운데 하나는 특수교육에서 소아기 및 성인기로 확대된 것이다. 첫째로 들 수 있는 것은 특수아 조기교육의 의도한 아동들은 출생 또는 발견과 동시에 특수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졸업후 일의 세계 또는 지역사회에 통합되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위한 것이다.
5) 입법과 소송에 의한 특수아동의 교육권확보: 특수아동의 교육권이 구체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미국은 장애아 관련법을 제정하여 장애 아동들에게 무상으로 최소의 제한을 가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러한 법이 제정되기전, 장애인에 애한 부당한 처우에 대해 헌법에 보장과 승소 판결을받음으로써 소송은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확보하는 좋은 수단이 되고있다.
신체적 장애는 개체적 의미(personal implication) 사회적 의미 ( social implication) 이 개체에 미치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영향을 말하고, 사회적 의미는 장애로 인해 발생할수 있는 일반사회인의 반응과 태도을 나타낸다. 장애인이 나태내기 부적응 행동은 그들 게체 내부의 내적요소와 사회환경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변인들이 많은 연구에 의해 탐색되고 있다.
더 이상 특수아동의 문제가 개인적인것은 아니다. 특수아동에 대하여 사회적관심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교육시킬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들이 하나의 교육체제내에서 차별없이 교육받을 수있는 교육제도와 인식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고 정부는 그들이 생활할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과 편의시설을 마련해주는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회구성원모두가 편견없이 바라보고 특별한 애정과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필요하다.